본문 바로가기
패션학

Fashion Trend - 민속성, 토속성 (젠)

by 레몬퀸 2025. 3. 28.
반응형

'선' 이라는 뜻의 일본식 발음이다. 젠은 개인의 자각과 명상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간과 우주의 근본 실체를 파악하고 생과 사를 초월하는 철학적 종교이며, 인도의 범어인 드야나(dhyana), 팔라어의 자나(jhana)를 음역한 것이다.

 

젠의 배경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 기계화 등 물질문명의 확장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물질만능주의 및 인간성과 도덕성의 붕괴 등은 절망감과 위기감을 느끼게 하였다. 더군다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세기말적 불안과 함께 기계화ㆍ정보화의 홍수 속에서 삶에 대한 회의를 가지게 된 현대인들이, 그들의 새로운 안식처로 정적이면서도 절제된 동양사상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정신세계를 자유롭게 해방하고 정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불교의 선 사상이 선택되었다. 이는 현대인의 삶에 대한 정신적 위안과 심리적 안정을 주는 역할로 일상생활에 수용되었고, 이런 경향으로 패션과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동양의 선 미학을 표현하는 젠 스타일이 나타나 서구의 생활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젠 스타일은 동양적인 사상과 미니멀리즘의 요소가 결합한 특징이 있으며, 이는 다시 오리엔탈리즘적 젠 스타일과 미니멀리즘적 젠 스타일로 구분된다. 오리엔탈리즘적 젠 스타일은 동양적 사고, 철학, 종교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선 사상에 바
탕을 두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동양적 이미지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분위기만으로도 동양의 선방에서 참선할 때 느끼는 정적이고 절제된 경건함을 은은한 동양적인 색채를 통해 느낄 수 있다.
서구인들의 생활문화 전반에 먼저 수용된 후 동양에서 다시 많은 사람에게 받아들여진 특징이 있는데, 즉 자연적이고 신비적인 동양 이미지의 특징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젠과 미니멀리즘은 선의 기본 개념들에서는 유사한 점이 있으나, 차이점도 있다. 먼저, 미니멀리즘은 사물의 단순성과 반복성을 중요시하지만 젠 스타일은 지혜에 대한 깨달음, 공의 개념을 표현한 것으로, 그 근본은 절제의 표현, 마음의 평안을 유지하는 데 있다. 

현대 패션의 활용 

미니멀리즘적 표현의 젠 스타일은 1990년대 대표적 디자인 경향인 미니멀한 표현에서 보여주는 특징들이 선 미학적 특징들과 상통하는 요소들로 표현된다. 또한 이전의 동양적 이미지만 표현한 오리엔탈 패션과는 달리 미니멀리즘적 요소와 다문화주의적 특징도 보인다. 특히 젠 스타일은 일본의 전통문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므로, 많은 사람이 일본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패션에서의 젠 스타일은 1997년경 뉴욕, 파리, 밀라노 컬렉션에서 많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선보여지기 시작하였다. 
젠 스타일은 이제까지 서양에서 보여준 오리엔탈리즘적 패션과는 차별화된다. 즉, 서양 디자이너들의 오리엔탈리즘 패션이 원색의 컬러와 자수 장식을 이용한 것이라면, 동양의 젠 스타일은 불교의 선 사상을 바탕으로 한 은은한 절제미, 눈에 띄지 않는 단순함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젠 스타일 패션의 특징적 이미지로는 종교적 이미지, 동양적 이미지, 절제의 이미지, 자연 친화적 이미지 등이 있다. 
종교적 이미지는 선 미학을 통한 내면의 정신에 무게를 두어, 종교적인 색채를 느낄 수 있는 경건함과 순수함을 나타내는 백색의 이미지, 수도자의 분위기, 승려의 의복에서 영향을 받은 듯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동양적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몸에 밀착되지 않는 실루엣, 앞이 전부 트여 있어 좌우를 포개어 여미는 전개형 여밈 장식과 차이니스칼라, 매듭단추 또는 일본의 전통적인 흑, 백, 차, 감, 재색 느낌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절제의 이미지로는 단아하고 깨끗함을 강조하는 전개된 세상과 디테일을 들 수 있다. 자연 친화적 이미지는 인간 삶을 표현하는 여유 있고 풍성한 실루엣과 천연염료를 사용한 천연 소재인 면, 마, 실크 등으로 자연미를 강조한다. 인테리어에서는 장식과 공간을 최소화한 전통 목가구와 절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가구들을 들 수 있는데, 이 또한 면, 마, 무명, 소창 등의 자연소재에 주로 어둡고 가라앉은 밤색 계통의 색상이 많이 사용되며 나무와 자갈, 나뭇결의 질감을 응용한 자연 친화적인 느낌에 미니멀한 느낌을 접목해 표현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