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Textile - 알칼리, 산, 효소 가공 방법
알칼리 가공 alkaline finish알칼리 가공은 화학 약품 중 강알칼리 약품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화학적 가공으로, 머서화, 리플, 알칼리 감량 가공이 대표적이다. 가공 효과는 모두 영구적이며, 염색 공정 전에 적용한다. 1) 머서화 가공 mercerization finish 머서화 가공은 셀룰로스계 섬유(면, 아마, 리오셀섬유 등)의 실 또는 섬유 소재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침지하여 가공하는 화학적 가공 방법으로, 면섬유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머서화 가공은 긴장 머서화 가공(tension mercerization)을 의미하며, 실은 경사 빔에 감아서, 섬유 소재는 텐터 프레임에 고정하여 가공한다. 염색성 강도, 방축성, 광택이 향상되며, 실켓 가공(silketfinish)으로도 부른다.2) ..
2025. 3. 13.
Fashion Textile - 섬유 소재 가공, 방법 및 분류 및 캘린더링 가공
가공가공은 섬유 소재 제품화를 위해 필수적인 공정으로, 섬유 소재는 적용하는 가공에 따라서 외관, 태, 기능성이 전혀 다르게 바뀐다. 현재 패션산업에서는 하나의 섬유 소재에 한 종류의 가공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공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외관, 태, 기능성이 모두 향상된 섬유 소재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다. 가공 효과에 따른 분류는 심미적 가공과 기능성 가공으로 나눌 수 있다. 심미적 가공은 섬유 소재의 외관, 태 등을 변화시키는 가공이고 기능성 가공은 섬유 소재의 성능을 보완, 향상하거나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가공이다. 이 장에서는 가공 효과에 따라 외관 태를 변화시키는 가공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가공으로 분류하여 설명한다.가공 방법, 효과의 지속성에 따른 분류가공 방법에 따른 분류는 화학 ..
2025. 3. 13.
Fashion Textile - 소재 섬유와 재질, 생산 방식
소재 섬유소재는 패션제품의 근본이 되는 재료로서, 섬유 및 동물의 가죽, 법 등의 천연섬유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인조 또는 합성섬유 등이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소재 및 첨단 소재 개발과 함께 소재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제품의 디자인에서도 소재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소재는 섬유 및 섬유를 가공해서 만든 실,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을 총칭해서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직물이며, 직물은 실로 이루어지고, 실은 섬유로 구성된다. 섬유는 실이나 직물, 편물 등을 만드는 기본 재료이며, 최소 구성성분이 된다. 실은 소재를 만들고 패션 제품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연속섬유의 충칭이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필라멘트사(filament yarn) 한 가닥이 길게 연속된 장섬유를 방사 과정을 통해 ..
2024.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