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최고의' , '일류의' , '고전적' 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로마 문예의 고전풍 또는 유행을 넘어선 전통적인 스타일을 가리킨다.
클래식은 고대 로마에서 시민 계급을 6등급으로 나누어 그 최상급을 클라시쿠스라고 칭한 데서 유래한다. 서양에서는 예로부터 고대 그리스, 로마의 예술을 이상으로 여겨 다른 시대, 다른 민족의 것도 이 기준에 합당할 때 이를 '클래식 하였으며, 시대를 초월한 가치와 보편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클래식 음악은 협의로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을 중심으로 한 1800년 전후의 고전파음악을 가리킨다. 패션에서는 주로 유행에 좌우되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의복의 스타일을 의미하는데 테일러드 수트, 샤넬 수트, 카디건, 트렌치코트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대체로 클래식은 서민적이라기보다 귀족적인 면모를 지니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유행이 절정에 대하여 포화상태가 되면 자연히 쇠퇴하고, 또 다른 새로운 스타일이 나타나지만, 클래식한 스타일의 의상은 유행과 관계없이 지속성을 갖고 있다.
형태
몸에 붙지 않고 단정한 여성스러움을 나타낸다. 식품, 값비싼 절제, 우아, 단정, 고급스러움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색상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사람들에 의해 가치를 인정받는 색으로써, 가볍게 보이지 않고 중후하게 보이는 색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주된 색상은 기본색인 검은색과 하얀색, 귀족적 느낌의 황금색이나 중성색이 많이 쓰이며, 채도가 낮은 저명도의 색상을 들 수 있다.
소재
실크는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소재로 여성스러움을 가장 잘 나타내 준다. 이 외에도 캐시미어, 울, 트위드, 스웨이드 등 최고급 소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장신구 및 디테일
진주 목걸이, 코르사주, 리본, 장갑, 중절모, 모피 등이 있다.
현대 패션의 활용
현대에는 샤넬을 비롯한 센 존(St. John)이 클래식한 브랜드로 대표되며, 가구로는 이튼 알렌(Ethan Allen), 조지안(Gorgian) 등을 들 수 있다. 본차이나(Bone China), 에르메스(Hermes)의 켈리 백(kelly bag), 오래된 크리스털 조명등 등에서도 클래식한 이미지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영화에서 보이는 클래식으로는 7년 만의 외출(The Seven Year Iitch)의 마릴린 먼로 의상을 들 수 있는데, 모두 트래빌러가 디자인한 것으로, 플리츠가 잔잔한 스커트와 기본 수트가 대표적이다. 또한 마이 페어레이디(My Fair Lady), 사브리나(Sabrina), 퍼니 페이스(Funy Face)에서 오드리 헵번이 입고 나오는 옷들 또한 클래식한 느낌을 한층 돋보이게 해준다.
샤넬룩(Chanel look)
1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나서 패션 전문용어가 된 샤넬 수트는 심플한 카디건 수트의 일종으로, 네크라인과 소매 끝 라인에 트리밍한 재킷과, 심플하며 스트레이트 한 라인의 스커트를 일컫는다. 블라우스나 액세서리의 변화로 옷차림 분위기를 쉽게 바꿀 수 있으며, 단순함과 입기 편함으로 인해 널리 애용되고 있다. 시대를 초월하는 지속성을 갖고 있는 샤넬 스타일은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 샤넬라인 : 무료 라인의 스커트를 칭하며, 스커트의 보편적인 미로 정착하였다.
◦ 금속 단추에 가장자리를 트리밍한 트위드 수트 : 모든 재킷의 안쪽 밑단 부분에 정교한 체인을 장식하여 처지거나 들뜨기 쉬운 재킷의 형태를 잡아 주어 어떤 움직임에도 우아한 모습을 유지하게 한다.
◦ 금속체인 끈이 달린 마름모꼴로 누빈 퀼팅 핸드백
◦ 앞부분에 검정을 악센트로, 두 가지 색상을 매치시킨 구두
◦ 모조 진주와 금속 체인의 목걸이, 검은색 새틴 리본, 코르사주, 장갑 등의 액세서리
크리스티앙 디오르(Christian Dior)의 뉴룩(new look)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뉴룩'은 전쟁 당시의 뻣뻣한 실루엣으로부터 여성을 해방시키고, 둥글고 완만한 모양의 부드러운 어깨선, 가늘게 죄인 웨이스트 길고 풍성한 플레어를 살린 롱스커트로, 여성의 우아함을 강조하였다. 프릴이나 레이스 등의 과잉 장식을 피하고, 소재의 특성을 살려 신체가 가진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려고 한 것이 특징이다.
재클린룩(Jackline look)
미국의 퍼스트레이디였던 재클린이 1960년대 즐겨 입었던 단정한 스타일의 수트를 말한다.
트래디셔널
'전통의', '전통에 근거한', '고풍스러운'이라는 뜻을 가지며 트래드룩(trad l00k)이라는 약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전통이란 넓은 의미로는 과거로부터 전해 오는 문화유산이며, 사회, 민족 또는 문화 영역에서 과거에 형성되어 미래까지 영향을 끼 칠수 있는 모든 행동, 관습, 양식, 태도 등을 말한다.
복식에서의 전통성은 클래식(clasic)의 하위개념으로, 각 문화권 내에서 오랜 기간을 두고 형성된 고유의 특성을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트래디셔널 패션의 시작은 1940년대 아이비리그(lvy League) 대학생들이 중심이 된 의복 문화의 뿌리 찾기운동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미국의 전통복 스타일로 발전하였다. 트래디셔널은 평범하고 순수하며 실용적인 스타일로, 전체적으로 스포티하고 기능적인 것이 특징이다. 즉, 보수성이 강한 캐주얼 스타일로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스타일의 지성미를 강조한다.
소재
주된 소재로는 모,면, 개버딘, 옥스퍼드지 등이 있으며 잔잔한 체크무늬 버튼 달린 셔츠, 좁은 칼라가 많이 등장한다. 이 외에 영국의 전통적인 신사복 스타일이 있으며, 헤링본 (herringbone), 글렌체크(glen check), 타탄체크(tartan check), 하운드투스체크(hound tooth check) 등이 많이 사용된다
헤링본(herringbone)
판자능이라고도 하며 사선 무늬 직물의 일종이다. 헤링본은 클래식하고 미니멀한 여유로움을 느끼게 하며 수트 재킷, 오비 코트 등에 주로 쓰인다. 전통적인 신사복 소재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여성복에도 사용하여, 보수성이 강한 캐주얼 타입으로 여성스러움보다는 지성미를 나타내는 데 효과적이다.
글렌체크(glen check)
여러 개의 줄무늬가 모여 하나로 보이는 듯한 무늬를 종횡으로 연결한 것, 즉 커다란 격자무늬 안에 작은 여러 줄의 체크가 들어 있는 스타일의 패턴이다. 캐주얼한 체크 면 셔츠에 많이 응용되는 디자인이다.
타탄체크(tartan check)
스코틀랜드 지방의 대표적 체크로써, 종족과 계급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선의 굵기가 서로 다른 서너가지 색을 이중, 삼중으로 바둑판처럼 엇갈리게 겹쳐 독특한 체크무늬를 형성한다. 현대에는 영국풍의 트래디셔널 스타일에 많이 활용되고, 폭이 넓은 주름치마, 칠부바지 등에 사용되며 랩스커트로 앞부분에 큰 핀을 꽃아 연출하기도 한다.
하운드투스(hound tooth)
셰퍼드 이빨 모양의 모티브가 연결된 일종의 체크무늬이다. 흑백, 적백 또는 갈색과 하얀색 등과 같이 대비가 강한 두 가지 색에 의해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색상
색상은 주로 네이비, 그레이, 베이지, 브라운 등이 중심이었으나 트래디셔널 패션의 다양한 색상을 활용한다.
'패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shion Trend - 민속성, 토속성 (에스닉) (0) | 2025.03.28 |
---|---|
Fashion Trend - 전통성 (컨서버티브, 빈티지) (0) | 2025.03.14 |
Fashion Textile - 윤리의식 기반 지속 가능한 패션 및 재활용 섬유 (0) | 2025.03.13 |
Fashion Textile - 지속가능한 친환경 패션 (0) | 2025.03.13 |
Fashion Textile - 데님 워싱, 모 가공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