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10

Fashion Trend - 자연성 (프리미티브, 에콜로지(1)) 프리미티브'원시의', '원초적인', '태고의', '발달되지 않은', '원색의' 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프리미티브 이미지란 원형을 그대로 간직한, 태고의 순수함을 느끼게 하는 원시적 이미지를 말한다. 프리미티브의 배경 프리미티브는 미술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고갱(Gauguin), 자코메티(Giacometti), 피카소(Picasso) 등이 대표적인 화가로서 신비성과 추상성을 클로즈업시킨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20세기 프리미티비즘의 효시는 고갱으로, 그는 인간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의식 구현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원시 상태인 미개인들의 신화를 원용하여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이 발표되고 난 후 미개인들의 물품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원시인 또는 현존 .. 2025. 3. 28.
Fashion Trend - 민속성, 토속성 (에스닉) 에스닉'인종의', '민족의', '민속풍의' 라는 뜻으로 라틴어의 에스니커스(ethnicus)와 그리스어의 에스니코스(ethnikos)에서 유래하였다. 원래 에스닉은 '민족의' 뜻 외에 '이교도의'라는 의미가 담겨있는데, 이는 기독교 문화권에서 보았을 때, 비기독교 문화권인 중동, 아시아 지방의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느낌을 말한다. 에스닉의 배경 에스닉 양식이란 민족적 양식, 민속풍 또는 민족 특유의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에스닉 양식은 인종에 따른 신체적 요건과 시대에 따른 역사적 요인, 풍습과 전통의 문화적 요인, 자연적 요인에 따라 각 민족 집단이나 국가에서 공통으로 공유하며 타 문화와 뚜렷이 구별되는 독특한 양식을 뜻한다. 현대 에스닉의 시초는 폴 푸아레(Paul Poiret)에 의한 동양풍 의상이.. 2025. 3. 28.
Fashion Trend - 전통성 (클래식, 트래디셔널) 클래식'최고의' , '일류의' , '고전적' 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로마 문예의 고전풍 또는 유행을 넘어선 전통적인 스타일을 가리킨다. 클래식은 고대 로마에서 시민 계급을 6등급으로 나누어 그 최상급을 클라시쿠스라고 칭한 데서 유래한다. 서양에서는 예로부터 고대 그리스, 로마의 예술을 이상으로 여겨 다른 시대, 다른 민족의 것도 이 기준에 합당할 때 이를 '클래식 하였으며, 시대를 초월한 가치와 보편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클래식 음악은 협의로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을 중심으로 한 1800년 전후의 고전파음악을 가리킨다. 패션에서는 주로 유행에 좌우되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의복의 스타일을 의미하는데 테일러드 수트, 샤넬 수트, 카디건, 트렌치코트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2025. 3. 14.
Fashion Textile - 윤리의식 기반 지속 가능한 패션 및 재활용 섬유 윤리 의식에 기반한 책임 있는 생산제품 생산에서 지속 가능한 노력은 공정무역을 기반으로 친환경적인 원료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원료 섬유의 생산 시 윤리 의식에 기반한 책임 있는 생산도 포함한다. 양모, 헤어, 가죽, 모피 등과 같은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엄격한 관리 기준 아래에서 동물 학대 행위 없이 사육된 동물로부터 원료를 언어 섬유 소재를 제조한다. 1) 비건 패션 vegan fashion 비건 패션은 동물 학대 금지 운동으로부터 시작된, 동물성 원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패션을 의미한다. 즉 견, 양모, 헤어, 가죽, 모피 소재 및 다운 충전재 등 동물성 원료를 식물성 원료 또는 합성 섬유 소재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2) 인조가죽과 인조 모피 인조가죽과 인조 모피는 대표적인 비건 패션 소.. 2025.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