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학

Fashion Textile - 윤리의식 기반 지속 가능한 패션 및 재활용 섬유

by 레몬퀸 2025. 3. 13.
반응형

윤리 의식에 기반한 책임 있는 생산

제품 생산에서 지속 가능한 노력은 공정무역을 기반으로 친환경적인 원료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원료 섬유의 생산 시 윤리 의식에 기반한 책임 있는 생산도 포함한다. 양모, 헤어, 가죽, 모피 등과 같은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엄격한 관리 기준 아래에서 동물 학대 행위 없이 사육된 동물로부터 원료를 언어 섬유 소재를 제조한다.

1) 비건 패션 vegan fashion
비건 패션은 동물 학대 금지 운동으로부터 시작된, 동물성 원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패션을 의미한다. 즉 견, 양모, 헤어, 가죽, 모피 소재 및 다운 충전재 등 동물성 원료를 식물성 원료 또는 합성 섬유 소재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2) 인조가죽과 인조 모피
인조가죽과 인조 모피는 대표적인 비건 패션 소재로, 인조가죽은 합성 가죽, 합성 스웨이드, 기타 가죽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합성 가죽 synthetic leather
합성 가죽은 섬유 소재에 PU 또는 PVC 합성수지를 표면 도포에 의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가공, 표면 엠보싱 가공하여 제조한다. 바탕이 되는 섬유 소재는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소재 모두 사용한다.
비건 패션에 대한 관심 증대로, 파인애플 가죽, 선인장 가죽, 사과껍질 가죽, 포도 껍질 가죽 등의 합성 가죽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
다. 파인애플 가죽은 파인애플 섬유 소재 위에 PU 또는 PVC 합성수지를 표면코팅 또는 라미네이팅하여 제조하며, 그 외의 가죽은 선인장, 사과껍질, 포도 껍질 추출물 등을 합성수지에 혼합하여 일반 섬유 소재 위에 표면 코팅한 합성 가죽 소재이다.

(2) 합성 스웨이드 synthetic suede
인조 스웨이드로도 부르는 합성 스웨이드는 인조가죽 중에서 천연가죽의 외관과 태를 가장 유사하게 모방한 소재이다.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극세섬유로 제조된 섬유 소재 표면에 피치 스킨 가공하여 제조한다. 합성 스웨이드의 장점은 천연스웨이드와 외관이 유사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이 가능하고, 염색 신뢰도가 우수하며 가벼운 것이다. 또한 물세탁이 가능하여 관리가 편리하다.

(3) 기타 가죽
기타 가죽 소재로는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거나, 무독성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한 인조가죽 소재가 있다.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인조가죽은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개발 및 판매되는 버섯균사체 가죽 소재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한지 섬유 소재 위에 무독성 실리콘 수지를 코팅한 인조가죽 소재가 소개되고 있다. 그 외에 국내외의 다양한 스타트업 회사 및 연구자들이 식물성 원료 또는 청정 가공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인조가죽을 꾸준히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4) 인조 모피 fake fur
인조 모피는 천연모피의 외관을 모방하여 만든 파일 소재로, 아크릴, 모드 아크릴, 폴리에스터사를 루프 파일로 편직 후, 컷 파일한 형태로 제조한다. 인조 모피의 장점은 합성섬유 원료로 만들어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고, 물세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단점은 천연모피에 비해 보온성이 낮고, 정전기 발생과 이로 인한 털의 엉킴 현상 등이 있다는 것이다.

3) 동물 학대 행위 없는 동물성 섬유의 생산
동물 학대 행위 없는 동물성 섬유는 동물의 사육환경이 엄격하게 관리되고, 동물로부터 섬유(턴), 가죽, 모피 체취 시 동물 학대가 없는 환경에서 생산된 섬유이다. 면양 사육 시, 살충제와 항생제 사용을 금지하고, 방목지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보장되어야 하며, 양모 섬유 채취 시, 면양의 엉덩이 살을 도려내는 과정(물싱) 없이 털을 얻는다. 또한 동물성 재료 채취 시 고통 없이 도살 후에 채취한다. 따라서 가죽, 모피, 다운 등을 채취 시 꼬리나 입 부분 자르기, 살아 있는 상태에서 가죽, 모피,다운 채취를 금지한다. 윤리적 생산에 의한 대표적인 인증은 RDS(Responsible Down Standard)와 RWS (Responsible Wool Standard)가 있다.

패션 산업에서의 지속 가능한 노력

제품 사용 및 관리에서의 지속 가능한 노력
제품의 사용 및 관리에서의 지속 가능한 노력은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영역으로 소비자가 할 수 있는 방법은 물이나 전기에너지 절감하기, 수명이 긴 의류제품을 사용해서 제품의 소비 기간 연장하기 등이 있다.
섬유. 패션 기업의 캠페인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조한 제품을 구입해서 오래 사용하기, 또는 세탁 횟수를 줄여서 물과 에너지 소비 줄이기 등이 있다. 가전제품 기업에서도 올바른 의류 관리 습관 들이기 캠페인 등을 하고 있다.

폐기 과정에서의 지속 가능한 노력
패션산업은 대량생산 기반의 산업이기 때문에 판매되지 않은 제품 및 소비자가 쉽게 구입한 패션 제품은 사회적·심리적 불만족으로 인하여 쉽게 폐기하기도 한다. 폐기 과정에서 지속 가능한 노력으로는 합리적인 소비를 통해서 폐기하는 제품을 줄이거나 재사용하기, 폐자원을 활용한 재활용하기, 생분해성이 있는 천연 및 합성섬유 사용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재활용섬유

재활용 섬유는 리사이클링(recycling) 섬유와 업사이클링(upcycling, upgradetrecycling) 제품으로 세분화된다.

 

1) 리사이클링 섬유
리사이클링 섬유는 페트병, 폐어망 등의 폐자원 원료를 활용하여 생산한 합성섬유로 페트병을 재활용하는 리사이클 폴리에스터(recycle polyester), 폐어망을 재활용하는 리사이클 나일론(recycle nylon), 리사이클 스판덱스 등이 있다.
리사이클링 섬유는 일반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섬유와 물성이 동일하고, 폐자원 재활용 및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환경적인 장점이 크다. 따라서 일반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섬유를 사용하던 모든 용도에서 리사이클링 섬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리사이클링 섬유의 인증에는 GRS(GlobalRecycled Standard)와 RCS(Recycled Claim Standard)가 있다.

2)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은 섬유 소재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의류 아이템으로 제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업사이클 패션으로도 부른다. 업사이클링은 폐기 의류를 해체하여 새롭게 디자인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하여 제작한다. 캐나다의 모피 브랜드 해리카나(Harricana)는 폐모피 제품을 재활용하여 모피 제품 또는 패션잡화 등을 만든다. 트럭의 방수포(arpaulin) 또는 안전벨트 등을 재활용하여 가방을 제작하는 독일의 프라이탁(Freitag), 재고 섬유 소재 및 의류를 재활용하는 코오롱의 래:코드(Reicode) 등이 대표적인 업사이클링 브랜드이다. 이 외에 폐현수막, 비행기 및 자동차 내장재 등의 폐자원 등을 다양하게 재활용하는 업사이클링이 시도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