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학

Fashion Textile - 알칼리, 산, 효소 가공 방법

by 레몬퀸 2025. 3. 13.
반응형

알칼리 가공 alkaline finish


알칼리 가공은 화학 약품 중 강알칼리 약품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화학적 가공으로, 머서화, 리플, 알칼리 감량 가공이 대표적이다. 가공 효과는 모두 영구적이며, 염색 공정 전에 적용한다.

 

1) 머서화 가공 mercerization finish
머서화 가공은 셀룰로스계 섬유(면, 아마, 리오셀섬유 등)의 실 또는 섬유 소재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침지하여 가공하는 화학적 가공 방법으로, 면섬유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머서화 가공은 긴장 머서화 가공(tension mercerization)을 의미하며, 실은 경사 빔에 감아서, 섬유 소재는 텐터 프레임에 고정하여 가공한다. 염색성 강도, 방축성, 광택이 향상되며, 실켓 가공(silketfinish)으로도 부른다.


2) 리플 가공 ripple finish
플리세 가공(plissé finish)으로도 부른다. 리플 가공은 면직물 표면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부분적으로 프린팅하여, 직물 표면에 뚜렷한 요철감을 부여하는 화학적 가공이다.
리플 가공 소재와 유사한 외관을 가진 면직물로 시어서커(seersucker)가 있다. 시어서커는 장력이 다른 두 종류의 경사를 정경하여 제직한 직물로, 경사 방향으로 스트라이프 형태의 뚜렷한 요철이 나타난다. 리플 가공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프린팅하므로, 문양의 형태나 방향에 제한 없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리플 가공 소재는 소재 표면의 뚜렷한 요철감 때문에, 착용 시 몸에 붙지 않아서여름용 소재로 사용한다. 다림질에 의해 표면 요철이 손상되므로 다림질은 권장하지 않는다.

3) 알칼리 감량가공 alkaline weight reduction treatment
알칼리 감량 가공은 폴리에스터 섭유소재률 고온의 수산화나트룹 용액에서 침지법으로 가공하는 화학적 가공이다. 알칼리 감량 가공된 폴리에스터 섭유소재는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향상되어 견섭유와 유사한 태를 갖고, 염색성이 증가한다. 또한 폴리에스터섬유의 장점인 위시 앤드 웨어성을 유지하여 관리가 편하다. 그러나 감량률이높으면 강도가 저하되므로 유의한다. 알칼리 감량 가공은 폴리에스터 섬유소재의 기본 가공으로, 대부분의 시판 폴리에스터 섬유소재는 알칼리 감량 가공되어 있다.
알칼리 감량 가공된 폴리에스터 섬유소재는 물실크라 부르기도 한다. 물실크는 물 세탁 가능한 견 섬유소재를 의미하나, 실제 섬유 조성은 100% 폴리에스터섬유이다.

 

알칼리 감량 가공을 하면 폴리에스터섬유 표면에 요철이 생기면서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 심색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색상이 진하게 보인다.
폴리에스터섬유는 표면이 매끈하기 때문에 빛이 정반사되어 광택이 강하다. 알칼리 감량 가공을 하면 플리에스터섬유 표면에 요철이 생겨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면서 광택이 감소하며 깊이 있는 색조(심색)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같은 농도의 염료로 염색을 하더라도, 감량 가공한 폴리에스터 섬유소재의 색상이 더진하게 보인다.


산가공


산 가공은 셀물로스계 섭유소재가 산성 약품에 의해 취하되는 특성을 이용하는 화학적 가공으로, 황산 등 강한 산성 약품의 희석용액을 사용한다.


1) 파치먼트 가공 parchmentizing finish
파치먼트 가공은 면직물을 황산 용액에 침지하는 화학적 가공이다. 가공 효과가 영구적이며, 염색 공정 전에 한다. 면직물을 해석한 방산 용액에 침지하면, 면직물의표면이 녹으면서 반투명해지고, 두께가 얇아지고 빳빳해지면서 파삭파삭한 촉감(crispy)을 갖게 된다. 파치먼트 가공 면직물은 오건디(organdy)라고 부르며, 견 또는 합성섬유 필라멘트 직물인 오간자(organza)와유사한 외관 및 태를 가진다.

2) 번아웃 가공 bum-out finish
오팔(opal), 데보레(dlevoré) 가공으로도 부른다. 빈아오 가공은 산에 약한 셀룰로스계섬유(면, 마. 레이온)와 내산성 섭유(건, 품리에스터)로 구성된 교합사 또는 교직물에 산성 약품을 프린팅 후 열처리하여, 산에 약한 신물로스게 섭유를 탄화시켜 제거한다.
번아웃 가공의 효과는 영구적이다. 번아웃 가공은 일반적으로 염색 공정 전에 하지만, 염색 후에 하기도 한다. 염색 후 번아웃 가공 시에는 가공제에 의한 색상 변화여부를 확인한다.


효소 가공 enzymatic finish


효소 가공은 활성 단백질인 효소를 사용한 가공을 통칭한다. 효소 가공은 섬유소재를효소 용액에서 침지법을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므로 화학 약품 및 에너지 소비가 절갑되는 친환경적 가공이다. 효소는 전처리 공정(방호, 정런), 워싱 가공, 방수 가공 등에 사용하며. 기질특이성을 갖고 있어 섬유별 적용 효소가 다르다.

 

면 섬유소재의 발호 공정: 호료 가수분해 효소인 a-아밀라아제를 사용한다.

면 또는 리오셀 섬유소재의 워싱 가공: 셀룰로스 가수분해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사용한다.
양모 섬유소재의 방축 가공: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를 사용한다.

 

효소는 기질특이성을 가진 활성단백질로, 대상이 되는 기질(섬유)에만 효과가나타난다.
효소의 기질특이성은 효소가 특정 기질(섬유)에만 반응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즉 셀룰라아제는 셀룰로스 섬유만, 프로테아제는 단백질 섬유만 가수분해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