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학17

Fashion Textile - 데님 워싱, 모 가공 워싱 가공 washing finish 워싱 가공은 섬유 소재 또는 완제품(의류)을 수세하는 가공이다. 효소 워싱 가공은 바이오 워싱 가공(bio washing)으로도 부른다. 제품(의류) 상태를 워싱 가공한 것은 가먼트 워싱 가공(garment washing)으로 부른다.1) 셀룰로스계 섬유 소재 및 제품의 워싱 가공 면, 마. 리오셀 섬유 소재 또는 제품의 위싱 가공은 자연스러운 구김. 약간 눈은 듯한 표면 효과 부여를 목적으로 한다. 바이오 워싱 가공하면, 표면 효과와 함께 섬유 소재 표면의 단섬유가 제거되어 촉감이 부드러워진다.추가적인 장점으로서 면, 마 리오셀섬유의 이완성 수축을 완화한다. 따라서 방축성이 부여되어 섬유 소재 및 제품의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다.2) 데님의 워싱 가공 데님은 가먼트 .. 2025. 3. 13.
Fashion Textile - 알칼리, 산, 효소 가공 방법 알칼리 가공 alkaline finish알칼리 가공은 화학 약품 중 강알칼리 약품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화학적 가공으로, 머서화, 리플, 알칼리 감량 가공이 대표적이다. 가공 효과는 모두 영구적이며, 염색 공정 전에 적용한다. 1) 머서화 가공 mercerization finish 머서화 가공은 셀룰로스계 섬유(면, 아마, 리오셀섬유 등)의 실 또는 섬유 소재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침지하여 가공하는 화학적 가공 방법으로, 면섬유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머서화 가공은 긴장 머서화 가공(tension mercerization)을 의미하며, 실은 경사 빔에 감아서, 섬유 소재는 텐터 프레임에 고정하여 가공한다. 염색성 강도, 방축성, 광택이 향상되며, 실켓 가공(silketfinish)으로도 부른다.2) .. 2025. 3. 13.
Fashion Textile - 섬유 소재 가공, 방법 및 분류 및 캘린더링 가공 가공가공은 섬유 소재 제품화를 위해 필수적인 공정으로, 섬유 소재는 적용하는 가공에 따라서 외관, 태, 기능성이 전혀 다르게 바뀐다. 현재 패션산업에서는 하나의 섬유 소재에 한 종류의 가공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공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외관, 태, 기능성이 모두 향상된 섬유 소재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다. 가공 효과에 따른 분류는 심미적 가공과 기능성 가공으로 나눌 수 있다. 심미적 가공은 섬유 소재의 외관, 태 등을 변화시키는 가공이고 기능성 가공은 섬유 소재의 성능을 보완, 향상하거나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가공이다. 이 장에서는 가공 효과에 따라 외관 태를 변화시키는 가공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가공으로 분류하여 설명한다.가공 방법, 효과의 지속성에 따른 분류가공 방법에 따른 분류는 화학 .. 2025. 3. 13.
Fashion Textile - 문양 형성,형태에 따른 분류 문양문양이란 직물, 조직 등을 장식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의미한다. 문양은 문양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모티브를 구성하는 데서 시작되며 이 모티브를 적절하게 배열하여 전개하면 문양이 만들어진다. 문양의 형태는 선, 공간과 형이 합해져서 이루어지며, 문양의 형태와 색상, 크기와 배열 등에 의해 의복의 전체적인 이미지에 변화를 준다. 문양의 형성 방법에 따른 분류선염(yarn- dyed) 문양 실 자체를 여러 색으로 염색한 후 직조한 직물에서 표현되는 문양이다. 서로 다른 색상과 질감의 실, 다양한 직조 방법에 의해 스트라이프, 체크, 자카드 등으로 짜인 것을 말한다. 후염(printed) 문양 직물을 직조한 후 염색하는 방법으로 프린트 또는 날염을 말한다. - 직접 날염(direct printing) 흰색 .. 2024.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