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
문양이란 직물, 조직 등을 장식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의미한다. 문양은 문양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모티브를 구성하는 데서 시작되며 이 모티브를 적절하게 배열하여 전개하면 문양이 만들어진다. 문양의 형태는 선, 공간과 형이 합해져서 이루어지며, 문양의 형태와 색상, 크기와 배열 등에 의해 의복의 전체적인 이미지에 변화를 준다.
문양의 형성 방법에 따른 분류
선염(yarn- dyed) 문양
실 자체를 여러 색으로 염색한 후 직조한 직물에서 표현되는 문양이다. 서로 다른 색상과 질감의 실, 다양한 직조 방법에 의해 스트라이프, 체크, 자카드 등으로 짜인 것을 말한다.
후염(printed) 문양
직물을 직조한 후 염색하는 방법으로 프린트 또는 날염을 말한다.
- 직접 날염(direct printing)
흰색 또는 엷은 색의 바탕 위에 직접 색풀을 날염해서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 방염(resist printing)
문양 부분에 미리 발색제를 처리하여 염색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 발염(discharge printing)
진한 색상의 직물에 문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입과 같이 문양 부분에 발색제를 처리하여 염색되지 않도록 한 후, 원하는 색상의 문양을 다시 프린트하는 기법이다.
문양의 형태에 따른 분류
사실적 문양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동식물 등의 자연물과 그 외의 인공물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자연물 - 식물
식물 문양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프로럴 패턴으로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열대지방의 풍경을 표현한 트로피컬 패턴과 자연에서 보이는 다양한 사물이나 풍경이 문양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자연물 - 동물
동물의 형상이나 표피를 표현한 문양으로 호랑이, 얼룩말, 파충류 등이 다양하게 사용된다.
인공물
자연의 여러 형태에서 표현되는 사실적인 이미지 이외에 인공적인 대상물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문자, 건물, 구두, 지폐, 그릇 등 다양한 사물들이 응용된다.
양식화 문양은 대상물의 형태를 간결하게 생략하거나 평면적으로 변화시켜 좀 더 단순화한 것으로 사실적 문양에 비해 정돈된 세련미를 줄 수 있다. 자연의 느낌을 적용하여 적의 눈을 속이고 위장하기 위한 각국의 전투복에 사용되는 위장 문양이 대표적인 예이다. 기하학적 문양은 점, 선, 면, 원 등의 기하학적인 모티브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스트라이프, 체크, 도트 문양 등이 대표적이다.
스트라이프(stripe) 문양
일정한 방향의 라인 디자인으로, 스트라이프의 방향, 간격, 넓이, 모양에 따라 디자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체형을 고려한 문양의 선택이 중요하다.
쵸크(chalk) 스트라이프
분필로 그은 듯한 느낌의 굵고 약간 윤곽이 흐릿한 줄무늬이다.
핀(pin) 스트라이프
핀으로 찍은 듯한 점으로 이루어진 줄무늬로 도 티도 스트라이프라고도 한다.
헤링본(herringbone) 스트라이프
청어의 등가시 모양과 유사한 무늬로 능선이 좌우 교대로 교차하여 나타난다.
얼터네이터(alternate) 스트라이프
두 종류의 스트라이프가 병행되어 나타나는 형태를 말한다.
블록(bloCk) 스트라이프
동일한 폭의 스트라이프가 같은 간격으로 배열된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폭이 넓은 스트라이프 형태를 말한다.
캔디(candy) 스트라이프
빨강, 노랑, 초록 등의 밝고 선명한 색으로 구성된 스트라이프이다.
피킨(pekin) 스트라이프
일반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전개되는 폭이 좁은 스트라이프 형태이다.
체크 문양은 가로, 세로의 선을 반복적으로 연결해서 구성한 규칙적인 문양이다.
하운드투스(hound's tooth) 체크
격자의 형태가 개의 이빨처럼 보이는 대표적인 체크 문양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세퍼드(shepherd) 체크
작은 체크 문양으로 색이 혼합되면서 무늬가 연결된다.
글렌(glen) 체크
여러 줄의 줄무늬를 이용하여 체크를 형성한 것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전통적인 체크 문양의 하나이다.
윈도우페인(windowpane) 체크
가는 세로줄과 가로줄 무늬가 교차해서 생긴 유리창 틀 모양의 격자 문양이다.
타탄(tartan)체크
스코틀랜드의 전통적인 문양으로 여러 가지 체크 문양이 겹쳐서 표현되며 경•위사가 동일하게 배열된다.
아가일(argyle) 체크
다이아몬드형과 경사진 가는 선의 분할이 특징인 스코틀랜드의 전통 문양으로 클래식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위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된다.
얼터네이트(alternate) 체크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체크 문양이 상호 배열된 것을 말한다.
깅엄(gingham) 체크
염색한 실과 표백한 실을 경•위사로 사용하여 직조한 체크 문양이다.
마드라스(madras) 체크
인도의 마드라스 지방에서 직조하는 가는 번수의 면직물체크 문양에서 응용된 것으로, 보통 얇은 원단의 격자무늬가 큰 체크 문양 형태를 말한다.
도트(dot) 문양
인형. 물방울 등 동근 형태의 문양을 말하며, 다양한 크기와 간격으로 변화가 있는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기하학적 문양의 응용으로는 기하학적인 여러 가지 문양이 조합되어 새로운 형태감과 변화를 주는 문양이다. 추상적 문양은 구체적인 사물이나 기하학적인 형태가 아닌 디자이너의 주관과 감각에 따라 자유로운 선, 색상, 질감으로 표현된 무정형의 즉흥적인 문양이다. 자연에서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순수한 형으로 다이나믹하고 개성이 뚜렷하므로 단순한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그래피티(graffiti)
낙서 같이 그려진 그림이나 문자를 뜻하며 화려한 원색을 많이 사용하고 메시지의 전달 보다는 색채와 모양, 스타일을 표현한다.
옵티컬 (optical)
티질 아트의 영향을 받은 그래픽 디자인을 아이디어로 한 문양으로 착시효과에 의해 리드미컬한 인상을 준다.
사이키델릭(psychedelic)
1960년대 후반 히피문화의 여파로 생긴 기법으로 일상적인 감각영역을 확대한 문양이나 형광성이 강렬한 색의 사용이 특징인 환각 예술이다.
전통적 문양은 각 민족과 지역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고유한 문양이 시대를 초월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주제를 기하학적인 배치로 도안화하여 그 민족의 전통적 조형 감각이나 기호를 표현하는 것이다.
'패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shion Textile - 알칼리, 산, 효소 가공 방법 (0) | 2025.03.13 |
---|---|
Fashion Textile - 섬유 소재 가공, 방법 및 분류 및 캘린더링 가공 (0) | 2025.03.13 |
Fashion Textile - 소재 섬유와 재질, 생산 방식 (0) | 2024.12.03 |
Fashion Color - 색상 톤 개념 (0) | 2024.12.01 |
Fashion Color - 색의 개념과 체계, 색채 연상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