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Fashion Trend - 자연성 (에콜로지(2), 트로피컬) 에콜로지 - 현대 패션의 활용 패션에서의 에콜로지는 크게 자연 에콜로지와 인간 에콜로지로 분리될 수 있다. 자연 에콜로지는 자연으로의 복귀 현상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야생의 동·식물, 자연에 대한 동경, 생태학적 이미지와 원시적이고 토속적인 이미지 및 자연 생태계의 순수한 이미지 등을 들 수 있다.  인간 에콜로지는 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을 표현한 디자인으로 자연 회귀 성향을 가진 자연스럽고 원시적인 히피 스타일 패션과 자원재활용 의상 등을 들 수 있다. 에콜로지룩이란 천연 소재를 주로 사용한 자연 지향적 패션의 총칭이며, 오염된 현재의 환경을 거부하고 자연 속에서 영감을 얻은 실루엣과 문양, 색채 등에서 자연의 이미지를 표현한 패션을 말한다. 컬러는 동·식물의 자연 색상 그대로를 내추럴 컬러와 조화시켜.. 2025. 3. 28.
Fashion Trend - 자연성 (프리미티브, 에콜로지(1)) 프리미티브'원시의', '원초적인', '태고의', '발달되지 않은', '원색의' 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프리미티브 이미지란 원형을 그대로 간직한, 태고의 순수함을 느끼게 하는 원시적 이미지를 말한다. 프리미티브의 배경 프리미티브는 미술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고갱(Gauguin), 자코메티(Giacometti), 피카소(Picasso) 등이 대표적인 화가로서 신비성과 추상성을 클로즈업시킨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20세기 프리미티비즘의 효시는 고갱으로, 그는 인간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의식 구현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원시 상태인 미개인들의 신화를 원용하여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이 발표되고 난 후 미개인들의 물품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원시인 또는 현존 .. 2025. 3. 28.
Fashion Trend - 민속성, 토속성 (젠) 젠'선' 이라는 뜻의 일본식 발음이다. 젠은 개인의 자각과 명상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간과 우주의 근본 실체를 파악하고 생과 사를 초월하는 철학적 종교이며, 인도의 범어인 드야나(dhyana), 팔라어의 자나(jhana)를 음역한 것이다.  젠의 배경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 기계화 등 물질문명의 확장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물질만능주의 및 인간성과 도덕성의 붕괴 등은 절망감과 위기감을 느끼게 하였다. 더군다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세기말적 불안과 함께 기계화ㆍ정보화의 홍수 속에서 삶에 대한 회의를 가지게 된 현대인들이, 그들의 새로운 안식처로 정적이면서도 절제된 동양사상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정신세계를 자유롭게 해방하고 정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불교의 선 사상이 선택되었다. 이는 현대인의 .. 2025. 3. 28.
Fashion Trend - 민속성, 토속성 (에스닉) 에스닉'인종의', '민족의', '민속풍의' 라는 뜻으로 라틴어의 에스니커스(ethnicus)와 그리스어의 에스니코스(ethnikos)에서 유래하였다. 원래 에스닉은 '민족의' 뜻 외에 '이교도의'라는 의미가 담겨있는데, 이는 기독교 문화권에서 보았을 때, 비기독교 문화권인 중동, 아시아 지방의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느낌을 말한다. 에스닉의 배경 에스닉 양식이란 민족적 양식, 민속풍 또는 민족 특유의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에스닉 양식은 인종에 따른 신체적 요건과 시대에 따른 역사적 요인, 풍습과 전통의 문화적 요인, 자연적 요인에 따라 각 민족 집단이나 국가에서 공통으로 공유하며 타 문화와 뚜렷이 구별되는 독특한 양식을 뜻한다. 현대 에스닉의 시초는 폴 푸아레(Paul Poiret)에 의한 동양풍 의상이.. 2025. 3. 28.